옐로스톤 리서치

중국의 최신 트렌드와 문화를 깊이 있게 전하는 블로그입니다. 경제, 기술, 라이프스타일 등 다양한 분야의 중국 정보를 쉽게 풀어드립니다. 유학생, 여행자, 창업자 모두에게 유용한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신뢰할 수 있는 자료와 해석으로 깊이 있는 인사이트를 전하고자 합니다. ‘진짜 중국’을 알고 싶은 분들을 위한 공간입니다.궁금한 점이나 제휴 문의는 아래 이메일로 연락 주세요. ellena818@hanmail.net

  • 2025. 3. 6.

    by. Y.스톤

    목차

      1. 만리방화벽이란 무엇인가?

      중국의 ‘만리방화벽(Great Firewall)’은 정부가 인터넷 콘텐츠를 감시하고 차단하는 검열 시스템입니다. 공식적으로는 ‘황금방패(Golden Shield)’ 프로젝트의 일부로 2000년대 초반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되었습니다. 이 시스템의 주요 목적은 국가 안보와 사회적 안정을 명분으로 특정 정보와 해외 웹사이트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는 것입니다.

      중국의 미디어 검열과 인터넷 통제 시스템: 만리방화벽(Great Firewall)

       

      2. 만리방화벽의 작동 방식

      만리방화벽은 다양한 기술적 방법을 활용해 인터넷을 통제합니다. 주요 검열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IP 차단: 특정 웹사이트의 IP 주소를 차단하여 접속을 불가능하게 만듭니다.
      • DNS 차단: 도메인 네임 시스템(DNS)을 조작해 특정 사이트로의 접속을 방해합니다.
      • 키워드 필터링: 검색 엔진에서 특정 키워드를 포함한 검색 결과를 차단하거나 제한합니다.
      • 패킷 분석 및 차단: 네트워크 트래픽을 감시하고 민감한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 패킷을 차단합니다.
      • HTTPS 차단: 보안 프로토콜(HTTPS)을 차단하여 정보 우회를 막습니다.

      3. 차단된 사이트와 서비스

      중국 정부는 서구권에서 널리 사용되는 많은 웹사이트와 서비스를 차단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차단된 사이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 검색 엔진: 구글(Google) 및 그와 관련된 서비스(Gmail, Google Drive 등)
      • 소셜 미디어: 페이스북(Facebook), 인스타그램(Instagram), 트위터(Twitter), 유튜브(YouTube)
      • 메신저 및 커뮤니케이션 앱: 왓츠앱(WhatsApp), 텔레그램(Telegram), 디스코드(Discord)
      • 뉴스 및 정보 사이트: 뉴욕타임스(The New York Times), BBC, 위키피디아(Wikipedia, 일부 페이지)

      중국은 이러한 해외 서비스를 차단하는 대신, 자체적인 인터넷 생태계를 구축했습니다. 대표적인 중국 서비스로는 바이두(Baidu), 웨이보(Weibo), 위챗(WeChat), 비리비리(Bilibili) 등이 있습니다.

      4. VPN과 우회 방법

      일부 사용자는 가상사설망(VPN)이나 프락시 서버를 이용해 차단된 사이트에 접근하려 합니다. VPN은 사용자의 IP를 해외로 변경하여 만리방화벽을 우회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그러나 중국 정부는 VPN 서비스도 적극적으로 차단하고 있으며, 합법적인 VPN 사용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중국 내에서 승인되지 않은 VPN을 사용할 경우 법적 처벌을 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5. 미디어 검열과 사회적 영향

      만리방화벽과 인터넷 검열로 인해 중국 내에서는 정부가 승인한 정보만이 확산되며, 표현의 자유가 제한됩니다. 이는 여론 형성과 사회적 담론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동시에 중국의 인터넷 생태계는 자국 기업 중심으로 발전하게 되어, 바이두, 알리바바, 텐센트 같은 기업들이 독점적 지위를 갖게 되었습니다.

      6. 미디어 검열로 인한 사건과 사고

      중국의 미디어 검열은 여러 사건과 논란을 야기해 왔습니다. 대표적인 사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 톈안먼 사건 검열: 1989년 톈안먼 민주화 운동과 관련된 정보는 철저히 검열되며, 중국 내에서는 관련 키워드를 검색할 수 없습니다. 관련 이미지나 영상도 즉각 삭제됩니다.
      • 코로나19 정보 검열: 2020년 코로나19 초기 확산 당시 정부는 감염자 수 및 발병 원인에 대한 정보를 철저히 통제했으며, 이를 비판하는 의료진과 언론인의 계정을 삭제하거나 체포했습니다. 대표적으로 리원량(李文亮) 의사가 허위 정보 유포 혐의로 경고를 받았으며, 이후 코로나19로 사망하면서 국제적 논란이 되었습니다.
      • 헝다 그룹 사태 보도 제한: 중국의 대형 부동산 개발 기업인 헝다(恒大) 그룹의 파산 위기에 대한 정보가 차단되었으며, 관련 기사는 삭제되고 온라인 토론이 제한되었습니다.
      • 연예인 및 유명인 검열: 특정 연예인이나 인플루언서가 정부 정책과 상반되는 발언을 하거나 서구 문화를 지나치게 동조할 경우, SNS 계정이 삭제되거나 활동이 제한되기도 합니다.

      7. 국제 사회의 반응과 논란

      만리방화벽은 국제 사회에서 비판의 대상이 되어왔습니다. 인권 단체와 언론 기관들은 이를 ‘디지털 독재’로 규정하며, 표현의 자유 침해 문제를 지적합니다. 반면 중국 정부는 ‘사이버 주권’을 강조하며, 각국이 자국 인터넷 정책을 결정할 권리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미국 및 서방 국가들과의 기술적, 외교적 갈등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8. 결론

      중국의 만리방화벽은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인터넷 검열 시스템 중 하나로, 정부의 정보 통제와 자국 중심의 인터넷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합니다. 이에 따라 중국 내 인터넷 환경은 서방과 상당히 다르게 형성되었으며, 이러한 현상은 앞으로도 지속될 가능성이 큽니다. 하지만 글로벌화된 디지털 환경 속에서 표현의 자유와 정보 접근성 문제는 계속해서 논란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