옐로스톤 리서치

중국의 최신 트렌드와 문화를 깊이 있게 전하는 블로그입니다. 경제, 기술, 라이프스타일 등 다양한 분야의 중국 정보를 쉽게 풀어드립니다. 유학생, 여행자, 창업자 모두에게 유용한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신뢰할 수 있는 자료와 해석으로 깊이 있는 인사이트를 전하고자 합니다. ‘진짜 중국’을 알고 싶은 분들을 위한 공간입니다.궁금한 점이나 제휴 문의는 아래 이메일로 연락 주세요. ellena818@hanmail.net

  • 2025. 3. 13.

    by. Y.스톤

    목차

      최근 중국의 MZ세대(밀레니얼+Z세대)는 전통적인 음식 문화와 글로벌 트렌드를 조화롭게 융합하며 자신만의 독특한 미식 문화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단순한 배 채우기가 아니라, SNS에서 공유할 가치가 있는 비주얼과 스토리를 중시하며, 건강한 라이프스타일과 윤리적 소비에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중국 MZ세대가 열광하는 대표적인 음식과 그 특징을 살펴보겠습니다.

      1. 건강과 다이어트를 위한 저칼로리 간편식

      중국의 MZ세대는 바쁜 라이프스타일을 유지하면서도 건강한 식습관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이에 따라 저칼로리이면서도 맛있는 간편식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샐러드 배달 서비스곡물 기반 건강 스낵이 있습니다. 베이징과 상하이에서는 신선한 채소와 단백질을 조합한 맞춤형 샐러드를 배달해 주는 서비스가 폭발적인 인기를 얻고 있으며, ‘양생(养生)’ 트렌드와 맞물려 곡물, 견과류, 저당 간식 등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Oatly’와 같은 식물성 우유 브랜드나 로우슈거(low sugar) 음료가 젊은 층 사이에서 각광받고 있으며, 다이어트용 곤약 젤리, 프로틴 바 등이 인기 상품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러한 음식들은 단순한 건강식이 아니라, 자신을 가꾸고 관리하는 하나의 라이프스타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중국 MZ세대가 좋아하는 음식: 개성과 트렌드를 반영한 미식 문화

      2. 소셜 미디어 감성을 반영한 트렌디한 디저트

      SNS에서의 공유 가치는 중국 MZ세대가 음식을 선택하는 중요한 기준 중 하나입니다. 특히, 독특한 비주얼과 창의적인 콘셉트를 가진 디저트가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모양 디저트(造型甜点)’**가 큰 인기를 끌고 있으며, 동물 모양 케이크, 우주 테마 마카롱, 다양한 색상의 크로와상 등이 SNS에서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특히, 상하이와 베이징의 유명 디저트 카페에서는 예술 작품 같은 케이크들이 등장하고 있으며, 예를 들면 "레인보우 크로와상", "황금빛 거울 케이크", "다이아몬드 초콜릿 무스" 등은 젊은 소비자들의 SNS에서 필수적으로 언급되는 핫 아이템입니다. 또한, 화려한 색감과 층층이 쌓인 **"갤럭시 롤케이크"**도 인기 디저트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또한, **‘치즈 티(芝士茶, Cheese Tea)’**는 여전히 젊은 세대들 사이에서 인기를 유지하고 있으며, 타이거 슈가(虎糖)와 같은 브랜드의 흑당 밀크티, 다채로운 색상의 버블티 등이 MZ세대의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말차 치즈 크림티", **"트러플 초코 밀크티"**와 같은 프리미엄 밀크티가 등장하면서 더욱 다양한 소비자층을 공략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디저트들은 단순한 맛뿐만 아니라, ‘인스타그래머블(Instagrammable)’한 요소로 젊은 소비자들을 유혹하고 있습니다.

      3. 이국적인 맛과 퓨전 요리 열풍

      중국 MZ세대는 글로벌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으며, 다양한 해외 음식 문화를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특히 일본, 한국, 동남아시아 음식이 큰 인기를 끌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새로운 스타일의 퓨전 요리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마라(麻辣) 소스를 활용한 퓨전 음식이 유행하고 있으며, 마라 피자, 마라 파스타, 마라 버거 등이 등장하면서 젊은 층의 입맛을 사로잡고 있습니다. 또한, 한국식 떡볶이, 일본식 돈부리(덮밥), 베트남식 반미 샌드위치 등도 젊은이들 사이에서 필수 맛집 리스트에 포함되고 있습니다.

      특히, K-푸드(한국 음식)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중국 내 한류 레스토랑에서는 김치찌개, 불닭볶음면, 수제 김밥 등이 큰 인기를 얻고 있으며, K-푸드 챌린지가 SNS에서 화제가 되기도 했습니다. 이런 현상은 중국 MZ세대의 개방적인 음식 취향을 잘 보여주는 예시입니다.

      4. 편리함을 강조한 스마트 푸드와 테크 기반 외식 문화

      중국의 MZ세대는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외식 문화에도 익숙합니다. 특히, 모바일 앱을 활용한 음식 주문, 무인 식당, AI 셰프 시스템 등 혁신적인 서비스가 젊은 층을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해마셴성(盒马鲜生)’**과 같은 스마트 슈퍼마켓에서는 신선한 재료를 주문과 동시에 조리해 주는 시스템을 제공하며, 소비자들은 신속하게 고품질 음식을 즐길 수 있습니다. 또한, 무인 로봇이 서빙하는 스마트 레스토랑도 늘어나면서, 젊은 층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이처럼 중국의 MZ세대는 자신만의 개성과 트렌드를 반영한 음식 문화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건강과 편리함을 추구하면서도 SNS에서 공유할 수 있는 비주얼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들의 소비 패턴은 앞으로도 새로운 음식 트렌드를 이끌어 갈 것입니다. 향후 중국의 미식 산업이 어떤 방향으로 발전할지 더욱 기대됩니다.

      '중국 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의 소수민족  (0) 2025.03.15
      중국의 시아우차 문화란?  (1) 2025.03.13
      중국 부자들이 먹는 음식  (0) 2025.03.13
      중국 부유층 2세대의 명암  (1) 2025.03.11
      중국식 장수비법과 생활습관  (2) 2025.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