옐로스톤 리서치

중국의 최신 트렌드와 문화를 깊이 있게 전하는 블로그입니다. 경제, 기술, 라이프스타일 등 다양한 분야의 중국 정보를 쉽게 풀어드립니다. 유학생, 여행자, 창업자 모두에게 유용한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신뢰할 수 있는 자료와 해석으로 깊이 있는 인사이트를 전하고자 합니다. ‘진짜 중국’을 알고 싶은 분들을 위한 공간입니다.

  • 2025. 4. 1.

    by. Y.스톤

    목차

      1. 텐센트는 어떤 기업인가?

      텐센트는 1998년 중국 선전에서 설립된 아시아 최대의 IT·콘텐츠 플랫폼 기업입니다. 대표 서비스로는 위챗(WeChat), QQ, 텐센트 게임즈 등이 있으며, 중국 내 온라인 생태계를 장악하고 있는 플랫폼 지배자로 알려져 있습니다.

      • 2023년 기준 시가총액: 약 4,000억 달러
      • 주요 분야: 게임, 클라우드, 콘텐츠, 인공지능, 금융 IT
      • 글로벌 영향력: 에픽게임즈, 라이엇게임즈, 유비소프트 등에 투자

      최근 몇 년간 텐센트는 "인터넷 이후의 플랫폼"으로 메타버스를 주목하며 디지털 공간 확장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2. 메타버스 전략의 시작: 왜 텐센트가 움직였나?

      텐센트는 메타버스를 단순히 ‘유행 기술’로 보지 않습니다.
      그들은 이를 차세대 인터넷 플랫폼, 소비자 인터페이스, 콘텐츠 생태계의 중심축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 텐센트 CTO: “메타버스는 가상과 현실의 융합을 통해 인간 경험의 범위를 확장하는 기술이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텐센트는 메타버스 인프라의 핵심 요소인:

      • 3D 그래픽 처리 엔진 (Unreal 기반)
      • 음성·얼굴 인식 AI
      • 클라우드 렌더링
      • XR(확장현실) 기술
        등을 집중 투자하고 있습니다.

      텐센트의 메타버스 전략과 디지털 인간 기술
      디지털 인간

      3. 디지털 인간 기술이란 무엇인가?

      **디지털 인간(Digital Human)**은 AI와 3D 기술을 결합하여 만든 가상 인격체를 의미합니다.
      이는 단순한 캐릭터가 아닌, 음성·표정·언어를 인공지능으로 학습하여 대화하고 반응할 수 있는 존재입니다.

      • 실시간 음성 합성(TTS)
      • 감정 분석 기반 얼굴 모션
      • 인공지능 기반 시나리오 대응

      이러한 기술은 단순 엔터테인먼트뿐 아니라, 고객 응대, 광고 모델, 가상 강사, 가상 아이돌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기술 영역설명
      3D 모델링 사람처럼 생긴 아바타를 만드는 기술 (고해상도·사실적 표현)
      모션 캡처(MoCap) 사람의 움직임, 표정, 손짓 등을 실시간 캡처해 적용
      TTS (Text to Speech) AI 음성 합성 기술 → 자연스러운 말투 생성
      STT (Speech to Text) 사용자의 말을 인식해 텍스트로 변환
      NLP (자연어 처리) 문맥 이해 및 대화 능력 구현
      감정 인식·표정 생성 입력된 내용의 감정 상태를 분석해 얼굴 표정·말투에 반영
      딥러닝 학습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스스로 대화 수준 향상

      이 모든 요소가 하나의 통합 플랫폼 또는 엔진 위에서 작동하여 디지털 인간의 자연스러움을 구현합니다.

       

      4. 텐센트의 디지털 휴먼 플랫폼 ‘트윈즈(TwinZ)’

      텐센트는 자사의 메타버스 전략에 따라, **디지털 인간 개발 플랫폼 ‘TwinZ 人’(트윈즈 렌)**을 공개했습니다.
      이 플랫폼은 다음과 같은 기술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구성 요소설명
      Twin Engine 실시간 3D 렌더링 기술
      AI Speech + NLP 음성 대화, 문맥 이해 기능
      Motion Capture AI 표정·몸짓의 자연스러운 재현
      Cloud 기반 생성 클라이언트 없이도 가상 인간 생성 가능

      현재 트윈즈 플랫폼은 중국 내 주요 광고 회사, 쇼핑몰, 방송국 등과 협업 중이며, 실제로 가상 앵커와 쇼핑호스트가 방송을 진행하는 사례도 등장했습니다.

      5. 상업적 활용: 광고, 엔터테인먼트, 게임 산업 접목

      텐센트는 디지털 인간 기술을 콘텐츠에 자연스럽게 접목하는 데 매우 적극적입니다.

      • 광고모델: 실제 연예인이 아닌 디지털 휴먼이 브랜드 모델로 활동
        → 화장품, 의류, IT 기기 등 다양한 산업에 적용
      • 게임 NPC(Non-Playable Character): 감정을 갖고 대화가 가능한 ‘감성형 NPC’ 시스템 시범 도입
      • 가상 라이브 방송: 음성, 표정 기반의 라이브 쇼핑 진행
      • 가상 아이돌 그룹 제작: 실제 팬덤과 소통하는 AI 기반 아이돌 생성

      이러한 방식은 콘텐츠 제작비를 절감하고, 24시간 운영 가능하며, 논란 리스크도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기업들이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6. 글로벌 메타버스 기업과의 차별점

      비교 항목텐센트 (중국)메타 (미국)네이버Z / 제페토 (한국)

       

      핵심 전략 인공지능 중심 디지털 인간 + 콘텐츠 가상 공간 플랫폼 + VR기기 아바타 기반 소셜 플랫폼
      콘텐츠 생산 방식 자체 엔진 기반 자동화 + AI 생성 메타버스 내 창작 도구 중심 크리에이터 중심 유저 생산 콘텐츠
      특징 현실 기반 AI형 메타버스 몰입형 VR 기반 글로벌 Z세대 커뮤니티 중심

      텐센트는 단순 공간보다는 ‘디지털 존재’를 중심에 둔 메타버스 전략으로, 기술 깊이가 다르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7. 전문가 인사이트

      정세윤 교수 (홍콩 폴리텍대 AI미디어랩)
      “텐센트의 강점은 콘텐츠 인프라를 이미 보유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WeChat, QQ, 게임, 스트리밍 등 자체 플랫폼을 통해 디지털 인간을 바로 상용화할 수 있는 통합 생태계를 갖췄죠.”

      또한 그는 “중국식 메타버스는 사용자 데이터 기반의 초개인화 메타버스로 진화하고 있으며, 서구의 '탈중앙화 플랫폼'과는 전혀 다른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8. 마무리 및 전망

      텐센트는 메타버스를 단순히 트렌드가 아닌, 미래 디지털 사회의 중심축으로 보고 움직이고 있습니다.
      디지털 인간 기술의 진보는 단순한 시각적 구현을 넘어, 인간과 유사한 사고·반응·감성까지 복제하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으며,
      이는 광고, 교육, 미디어, 공공 서비스 등 우리 일상 속으로 빠르게 스며들고 있는 중입니다.

      중국 정부도 메타버스 산업을 **"디지털 경제 핵심 기술"**로 분류하며 전폭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어,
      텐센트의 기술은 앞으로도 빠른 속도로 상용화·대중화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