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중국 드라마 산업은 오랜 시간 동안 대규모 자본과 스타 시스템을 바탕으로 급성장해왔습니다. 하지만 최근 몇 년간 중국 정부의 규제 강화, 경제 성장 둔화, 글로벌 경쟁 심화 등의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해 그 성장세가 주춤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산업의 한계 상황 속에서 중국의 콘텐츠 크리에이터들은 변화에 적응하고 새로운 돌파구를 찾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특히 주목할 만한 트렌드는 '숏폼 콘텐츠'의 부상과 '기술 혁신'을 통한 제작 방식의 변화입니다. 본 글에서는 이러한 트렌드를 중심으로 중국 드라마 산업이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1. 숏폼 콘텐츠의 급부상
중국 내에서는 '단편 드라마(微短剧)' 혹은 '숏드라마'라고 불리는 콘텐츠가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출처: QuestMobile, 2024년 중국 모바일 콘텐츠 보고서)
이는 일반적인 드라마보다 짧은 회차(보통 1~3분)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체 시리즈도 30분 이내로 끝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숏폼 드라마는 모바일 사용자 중심의 콘텐츠 소비 패턴 변화에 부합하며, 짧은 시간 내에 몰입도 높은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플랫폼으로는 '콰이쇼우(快手)', '도우인(抖音)' 등이 있으며, 이들 플랫폼은 자체적인 숏폼 드라마 전용 섹션을 운영하거나 크리에이터들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면서 콘텐츠 생태계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저는 이 흐름이 단순한 유행을 넘어서, 중국 콘텐츠 산업이 전통적인 TV 드라마의 형식에서 벗어나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로 진화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Z세대와 알파세대는 빠른 전개와 직관적인 스토리텔링을 선호하기 때문에, 숏폼 콘텐츠는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2. 기술 혁신: 버추얼 프로덕션과 AIGC의 도입
중국 드라마 제작 환경에서는 최근 버추얼 프로덕션(Virtual Production) 기술과 AIGC(인공지능 생성 콘텐츠) 기술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습니다. 특히 헝디엔 영화촬영기지와 같은 전통적인 제작 거점에서조차 LED 볼륨 스크린과 실시간 렌더링 시스템을 활용한 가상 세트 제작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AIGC 기술을 활용하면 배경 이미지, 시나리오, 심지어 배우의 표정이나 대사까지 자동 생성이 가능해지면서 제작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습니다. 물론 아직까지 완전한 품질을 보장하기에는 기술적 한계가 있지만, 이를 활용한 시범 콘텐츠들이 점차 대중에게 노출되면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출처: China Academ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2024 AIGC 기술 백서)
저는 이러한 기술 혁신이 중국 드라마 산업의 체질을 바꾸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봅니다. 전통적인 방식보다 훨씬 유연하고 효율적인 제작이 가능해지며, 특히 저예산 크리에이터들에게는 진입 장벽을 낮춰주는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가상 세트 제작 3. 정부 규제와 콘텐츠 검열, 그 속에서의 자구책
중국 정부는 최근 몇 년간 방송 콘텐츠에 대한 규제를 지속적으로 강화해 왔습니다. 연예인의 사생활 논란, 팬덤 문화 통제, 서구적 가치관 유입 차단 등 다양한 명목으로 콘텐츠에 대한 사전 검열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제작자들의 표현의 자유를 제약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일부 크리에이터들은 규제를 피해가기 위한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전용 콘텐츠로 기획하거나, '생활 밀착형' 스토리를 중심으로 사회적 논란을 피하는 방식이 그것입니다. 또한 외국 플랫폼이나 해외 협업을 통해 콘텐츠를 해외로 수출하려는 움직임도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4. 글로벌 시장 공략을 위한 전략
중국 드라마 산업은 최근 몇 년간 동남아, 중동, 아프리카 등 신흥시장으로의 진출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넷플릭스, 유튜브, 아이치이 글로벌(iQIYI Global) 등 OTT 플랫폼을 통해 중국 드라마가 해외 시청자에게 소개되는 빈도가 늘고 있습니다.
이는 내부 규제와 시장 포화에 대응하기 위한 생존 전략으로 볼 수 있으며, 한류 콘텐츠의 성공 모델을 벤치마킹하는 사례도 눈에 띕니다. 실제로 일부 중국 드라마는 케이팝 스타일의 연출이나 캐릭터 구성을 채택하여 글로벌 시청자들의 공감을 얻고 있습니다.
5. 마무리하며: 중국 드라마 산업은 재도약할 수 있을까?
중국 드라마 산업은 한때 엄청난 자본력과 내수 시장을 기반으로 독자적인 생태계를 구축한 바 있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변화의 기로에 서 있습니다. 숏폼 콘텐츠와 기술 혁신은 이러한 한계를 돌파할 수 있는 유력한 수단이지만, 동시에 콘텐츠의 질과 창의성을 유지하는 것이 관건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중국 콘텐츠 산업이 과도기적 혼란을 겪고 있지만, 그 속에서 다양한 실험과 혁신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갈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젊은 세대의 크리에이터들이 주도하는 변화는 기존의 틀을 깨고 새로운 콘텐츠 생태계를 구축할 원동력이 될 것입니다.
앞으로 중국 드라마 산업이 숏폼 콘텐츠, 기술 기반 제작, 글로벌 전략이라는 삼각축을 기반으로 어떤 방식으로 성장해 나갈지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중국 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유교사상의 현대적 재해석 (0) 2025.04.10 중국에서 유행 중인 신조어 & 인터넷 밈 분석 (0) 2025.04.09 중국의 야식 문화 (0) 2025.03.29 중국식 비건 요리 레시피 (1) 2025.03.29 『사람아 아, 사람아!』 줄거리와 감동 포인트 정리 (0) 2025.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