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1. 중국 AI 업계의 신예, 량원펑을 주목하다
2025년, 중국의 인공지능 업계에서 량원펑(梁文锋)의 이름이 급부상하고 있습니다. 저장대학교 출신의 이 젊은 창업자는 '딥시크(DeepSeek)'라는 신생 AI 기업을 통해, 단 1년 반 만에 세계적인 AI 모델을 개발하고 오픈소스로 공개함으로써 글로벌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단순한 기술 혁신을 넘어, 교육 기부와 철학적 메시지까지 던지고 있는 그의 행보는 중국 사회 전반에 새로운 자극을 주고 있습니다.
2. 성장 배경: 광둥성 시골 마을의 수학 천재
량원펑은 광둥성 잔장시 우촨시 탄바진의 밀리링촌(米历岭村)에서 태어났습니다. 인구 약 700명 수준의 작은 농촌 마을이지만, 이곳은 역사적으로 과거시험 합격자를 많이 배출한 ‘뿌리 깊은 교육 마을’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의 부모님은 모두 초등학교 교사였으며, 주입식보다는 자율성과 탐구심을 중시하는 교육 방식을 실천했습니다. 그의 아버지는 "교육은 옥석을 조각하는 것이 아니라 씨앗을 깨우는 것이다"라는 신념을 가지고 계셨으며, 이는 량원펑이 문제 해결 능력과 탐구심을 키우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아버지는 늘 “오늘 어떤 문제를 해결했니?”라고 질문했고, 어머니는 아들이 라디오를 30번 넘게 분해하고 재조립할 수 있도록 방치 아닌 지지를 보냈습니다. 이러한 환경에서 량원펑은 중학교 시절에 고등학교 수학을 뛰어넘어 대학 수준의 수학까지 독학했으며, 결국 저장대학교 전자정보공학과에 입학하게 됩니다.
3. 딥시크의 창립과 기술 전략
3.1 창업 배경과 투자
2023년 7월, 량원펑은 저장대 동문들과 함께 딥시크를 설립합니다. 초기 투자금은 자신이 운영하던 헤지펀드 High-Flyer Quant를 통해 조달했으며, 목표는 단 하나—중국 주도의 오픈형 생성 AI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었습니다.
3.2 기술 진보와 오픈소스 철학
2024년 5월에는 MoE(Mixture of Experts) 구조를 도입한 DeepSeek-V2를 발표하고, 같은 해 12월에는 6,710억 개 파라미터를 갖춘 DeepSeek-V3를 공개했습니다. 이 모델은 600만 달러라는 낮은 훈련 비용으로 고성능을 구현한 세계 최초의 개방형 MoE AI였습니다. 2025년 1월, GPT-4급 성능의 DeepSeek-R1까지 오픈소스로 출시하면서 딥시크는 ‘AI의 민중화’를 내세우는 대표 기업으로 떠올랐습니다.
4. 교육 기부와 사회적 반향
량원펑은 기술 성과를 넘어서 교육계에서도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그는 모교인 저장대학교에 60억 원을 기부했으며, 고향 마을에는 교육 지원 및 인터넷 인프라를 위한 기금을 조성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그의 고향인 밀리링촌은 “과거에는 과거시험, 지금은 AI 인재”라는 수식어로 불리며 새로운 교육 명소로 재조명되고 있습니다.
중국 정부 역시 그를 주목하고 있으며, 2025년 상반기에는 시진핑 주석이 주재한 AI 산업 전략 간담회에 알리바바, 바이두 CEO들과 함께 참석자로 지목되었습니다.
5. 철학과 리더십
량원펑은 “모든 위대한 혁신은 기존 상태에 대한 비판적 해체에서 시작된다”는 말을 자주 언급합니다. 중학교 시절 라디오를 수십 번 분해하던 경험이 단순한 취미가 아닌, 그가 생각하는 '학습과 창조의 원형'이라는 것입니다.
그는 AI가 특정 기업이나 계층만의 것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강하게 고수하며, “누구나 쓸 수 있고 접근 가능한 AI 생태계를 만들겠다”는 철학 아래 오픈소스 모델을 지속적으로 공개하고 있습니다. 이는 구글, 오픈AI 등과는 다른 딥시크만의 정체성을 부여하는 핵심 전략이기도 합니다.
6. 시사점: 한국과 글로벌 사회에 주는 메시지
량원펑의 사례는 단순한 기술 창업의 성공담이 아닙니다. ● 시골 마을의 교육적 전통, ● 부모의 자율 중심 교육, ● 공학과 금융의 융합 사고, ● 국가 전략과 개인 철학의 일치, 이 모든 요소가 정교하게 맞물려 AI 혁신이라는 결과로 이어졌기 때문입니다.
한국 역시 과학기술 인재 육성, AI 오픈소스 생태계 확대, 지역 균형교육 등을 고려할 때, 량원펑의 방식에서 배울 점이 많습니다. 그는 단지 ‘성공한 창업자’가 아니라, AI를 통해 사회 구조를 재설계하고자 하는 새로운 리더십의 상징이라 할 수 있습니다.
참고 자료
- Sohu.com: https://www.sohu.com/a/862255046_117399
- Xueqiu.com: https://xueqiu.com/4823132850/323572377
- SpotlightUniv.com (2025): 중국 고등교육의 전략 변화
- 저장대학교 기부 뉴스, 딥시크 공식 블로그 등
'중국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의 교육 정책에서의 정층설계(Top-Level Design) 개념 분석 (0) 2025.04.18 중국 사교육에 지친 부모들, 쌍감 정책 이후의 현실 (0) 2025.04.17 농촌 교육 격차 해소를 위한 중국의 교사 양성 정책 분석 (0) 2025.04.17 중국의 과학영재 교육과 산업 연계 전략: 한국과의 차이점은? (0) 2025.04.16 중국 중카오 제도, 미래를 결정짓는 첫 번째 관문 (0) 2025.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