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1.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 확대
- 기존에 '회사'에만 적용되던 이사의 충실의무를 ‘주주’까지 확대하였고,
- 특히 **‘전체 주주의 이익을 공평하게 고려하고, 총주주의 이익을 보호해야 한다’**는 조항이 신설되었습니다 .
- 이는 소수주주 보호와 경영투명성 강화에 목적이 있으며,
- 이사회가 내린 결정이 주주 전체의 이익에 부합하는지 면밀히 판단해야 한다는 법적 근거를 제공합니다.
2. 독립이사 제도 도입
- ‘사외이사’를 **‘독립이사’**로 명칭 변경하고, 이사 총수의 3분의 1 이상을 독립이사로 구성하도록 의무화했습니다 .
- 독립이사의 역할이 강화됨으로써 경영 의사결정 과정에서의 이해충돌 방지와 감시 기능이 한층 강화됩니다 .
3. ‘3% 룰’ 의결권 제한 확대
- 감사위원 선출 시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의 의결권을 합산하여 3%로 제한하도록 규정을 확대 적용했습니다 .
- 기업 지배구조의 투명성 확보와 대주주의 과도한 영향력 제한을 목표로 합니다 .
4. 전자주주총회 도입
- 상장회사는 2027년 1월 1일부터 전자방식으로 주주총회를 개최할 수 있게 되며, 주주들의 총회 접근성과 참여 기회가 크게 확대됩니다 .
⏰ 시행 일정
조항시행 시점이사의 충실의무 확대 법 공포 즉시 시행 독립이사 의무화, 3% 룰, 전자주총 2027년 1월 1일부터 시행 ※ 집중투표제, 감사위원 분리선출 등은 추가 논의 예정이며, 이번 개정안에는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
📈 기업 및 시장 영향
- 기업 지배구조 강화: 소수주주 권익 보호 및 투명 경영 촉진 .
- 주주 참여 확대: 전자주총 도입으로 일반 주주들도 쉽고 편리하게 주주총회에 참여 가능.
- 민사·배임 리스크 증가: 주주 차별 등으로 인한 손해배상 청구 가능성 높아짐 .
- 대주주 권한 축소 우려: 대주주 의결권 제한 및 독립이사·감사위원 규제 강화로 경영권 방어 대응 전략 필요 .
✅ 기업 대응 방안
- 이사회 및 내부 정책 정비: 경영 판단 기록 강화, 주주 의견 수렴 시스템 구축.
- 이사회 구성 및 교육 강화: 독립이사 중심으로 재편하고, 역할 명확화 및 교육 실시.
- 법률 리스크 관리: 변경 법률 기준 반영한 가이드라인 제정, 소송 리스크 대비.
- 디지털 인프라 업그레이드: 전자주총 도입 준비용 시스템 구축 및 테스트.
이번 상법 개정은 소액주주 권리 강화, 경영 투명성 제고, 주주 참여 확대를 목표로 합니다.
기업 측면에서는 준법 리스크 및 경영권 보호 측면에서 선제적 대응이 중요합니다.
'경제리서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SK하이닉스, 역대급 25조 투자! HBM 반도체 시장의 판을 바꾼다 (5) 2025.07.28 은행 없이 투자·보험까지? 오픈 파이낸스로 가능해진 금융의 미래 (0) 2025.07.23 2025 디지털 원화 실증 사업 최신 소식! CBDC 기술·해외 동향 총정리 (0) 2025.07.11 미국 관세폭탄, 한국의 대응전략 총정리 – 2025년 최신 동향과 기업 영향 (0) 2025.07.08 정년연장 65세, 국민 79%가 찬성하는 이유와 현실적 고민 (0) 2025.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