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반응형1.퇴직금, 목돈이라고 방심하면 안 된다
퇴직 시 받는 퇴직금은 보통 수천만 원에서 많게는 억 단위까지의 ‘목돈’입니다. 하지만 은퇴 후에는 정기적인 소득이 없기 때문에 이 자금을 어떻게 운용하느냐에 따라 노후 삶의 질이 달라집니다.
단순히 통장에 넣어두거나, 주변 권유로 무작정 투자에 나섰다간 원금 손실의 위험도 있습니다.2.퇴직금 운용의 핵심 원칙 3가지
- 절대 잃지 않는 것이 최우선
- 은퇴 후 자산은 ‘불리기’보다는 ‘지키기’가 더 중요합니다.
- 리스크가 높은 주식, 비트코인 등에 몰빵하는 건 위험합니다.
- 현금 흐름 확보
- 매달 생활비가 안정적으로 나와야 하므로, 일정 수익을 제공하는 자산이 적합합니다.
- 예: 채권형 펀드, 배당주, 리츠(REITs) 등
- 분산 투자로 리스크 줄이기
- 예금·채권·펀드·보험 등 다양한 자산에 나눠 투자하면 한쪽에서 손실이 나도 전체 자산을 지킬 수 있습니다.
3.퇴직금 1억, 이렇게 나눠보세요 (예시 포트폴리오)
항목비중목적예시 상품예·적금 30% 안정성, 비상자금 확보 고금리 특판 예금, CMA 계좌 채권·MMF 25% 안정적 이자 수익 국공채, 채권형 ETF 배당주 투자 20% 분기별 수익 확보 우량 고배당주, 배당 ETF 연금보험/즉시연금 15% 노후 생활비 확보 연금보험, 변액 즉시연금 리츠/부동산 펀드 10% 인플레이션 대비, 수익 다양화 공모 리츠, 인컴형 부동산펀드 ※ 본 포트폴리오는 예시일 뿐이며 개인의 성향, 은퇴 후 지출 계획에 따라 달라져야 합니다.
4.절세 전략도 함께 고려하세요
퇴직소득세를 낸 후 남은 퇴직금을 어떻게 운용하느냐에 따라 세금 부담도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IRP(개인형 퇴직연금)에 일부를 이전해 운용하면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IRP 이체 시 최대 700만 원까지 세액공제 가능 (연소득에 따라 차등)
- 연금 수령 시에는 연금소득세(3.3~5.5%)로 일반 소득세보다 낮은 세율 적용
5.금융사 추천 상품보다, 내 인생 계획 먼저
퇴직금을 수령하면 은행이나 보험사에서 다양한 상품을 권유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전에 먼저 해야 할 일은 자신의 재무 상황과 라이프 플랜 점검입니다.
- 향후 지출 계획(자녀 결혼, 병원비 등)
- 국민연금 수령 시기 및 금액
- 기타 보유 자산 및 부채 여부
이런 정보를 토대로 종합적인 자산 운용 계획을 세워야 금융상품도 제대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6.결론
퇴직금은 단순한 ‘돈’이 아닌, 앞으로 살아갈 수십 년의 기반이 되는 자산입니다.
안정성을 지키면서도 꾸준한 수익을 낼 수 있는 방법으로 계획적으로 운용한다면, 은퇴 후의 삶도 훨씬 여유롭고 건강해질 수 있습니다.반응형'현금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스트코 연회비 인상됐나요? (0) 2025.05.17 갤럭시 Z 폴드6 사전예약 혜택 총정리: 지금 예약하면 받을 수 있는 모든 것! (0) 2025.05.14 집 한 채로 노후 걱정 끝? 50·60대를 위한 주택연금과 역모기지 제대로 이해하기” (0) 2025.05.13 이자 안 주는 은행, 계속 믿으세요? 금리 하락 시대, 개인이 선택할 3가지 대안 (0) 2025.05.13 디플레이션 경고등 켜진 2025년, 개인이 꼭 알아야 할 경제 변화와 생존 전략 (0) 2025.05.13 - 절대 잃지 않는 것이 최우선